김동식 박정권 김지현 이성수 오아네스 윤혁순 양돈영 제종길 이응철 김장훈 김선영 강보성 장동립 윤혁순 물고기 문화 박물관 기사 (5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2020 5/6 190호] 윤혁순, 옹기 어문 장군 [2020 5/6 190호] 윤혁순, 옹기 어문 장군 옹기는 옹(甕, 瓮)은 ‘독’이라는 우리말의 한자어로서 그릇의 형태를 일컫는 말이다.독은 선사시대부터 만들어져 음식물을 저장하거나 시신을 넣는 관으로도 사용되어 왔고, 삼국시대에 들어와서는 생활에 더욱 긴요하게 사용되어 고구려의 안악 3호분 고분벽화에 크고 작은 독을 늘어놓은 장면이 있으며, 백제와 신라에서는 쌀이나 술, 기름과 간장, 젓갈 등을 저장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옹기는 단순히 그릇의 형태로 독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황갈색의 유약을 입힌 질그릇을 총칭하는 개념으로서 독을 비롯하여 소래기·단지·식초병·시루·거름통·약탕기 등 윤혁순 | 윤혁순 | 2020-06-15 15:34 [2020 03/04 189호] 윤혁순, 질어형 등잔 [2020 03/04 189호] 윤혁순, 질어형 등잔 ∷∷∷ 질그릇이란 잿물을 입히지 않고 진흙만으로 구워 만든 그릇이라고 국어사전은 해석한다.질그릇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어 1만년이 넘는 질그릇도 발견되고 있다. 질그릇은 인간이 만든 최초의 합성물로 불, 흙, 물, 공기 등의 재료로 만들어지는 용기이다. 필자의 어린 시절 어머니가 직접 질시루에서 찐 팥 시루떡은 지금도 잊을 수 없는 맛 중 하나이다. 별명이 떡보인 필자는 떡을 먹을 수있는 제삿날, 생일날처럼 기다리는 날이 또 하나의 안택 날이었다.한해의 추수를 마치고 대문에 금줄을 치고 황토를 양쪽에 뿌리고 질 시루에 팥 시루떡을 제 윤혁순 | 김강산 기자 | 2020-03-17 00:00 [2020 1/2, 188호] 윤혁순, 고비에 표현된 어부 [2020 1/2, 188호] 윤혁순, 고비에 표현된 어부 ∷∷∷ 어부(魚婦)는 산해경에 등장하는 반신반어의 이름이다. 지금 우리는 상상력이 모두 자유로운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다시 한 번 생각해보면 우리들의 상상력은 종속되고 자유로울 수 없다. 현대인에게 인어라고 말하면 안데르센[Andersen, Hans Christian] 덴마크의 동화작가․소설가(1805~1875)의 ‘인어공주’가 먼저 떠오를 것이다. 그리고 용은 사악한 동물이고 두려운 동물로 여기게 된 시대에 우리들은 살고 있는 것이다. 문화의 종속이 상상력의 종속 까지 이르게 된 것이다.인어는 아프리카 콩고 강에 마미와타(Ma 윤혁순 | 수중세계 | 2020-01-27 14:41 [2019 11/12, 187호] 윤혁순, 물고기 암채화 [2019 11/12, 187호] 윤혁순, 물고기 암채화 다섯 번째 이야기∷∷∷ 결론은 접신이다.19세기 말 중국에서 은나라 시대 갑골문자의 발견은 그전 토템이즘이 행한 것이 무엇이었는지를 알려주는 중요한 증거물들이 대거 출퇴되었다. 그 시대에는 거북이 배 껍질에 불로 지져서 갈라지는 것을 보고 점을 쳤다.점을 치기 전에 먼저 해야 할 일은 접신이다. 그리고 신에게 점을 칠 내용을 적어서 고한다. 이후 불로 지져 점을 치고 그 결과를 옆에다 갑골문자로 기록했다. 그 시작과 과정과 결과를 모두 같이 기록해 놓았던 것이다.점을 치는 방법이 지금까지 전해지는 것이 또 하나 있는데 주나라 시대 윤혁순 | 수중세계 | 2019-11-30 16:04 [2019 09/10, 186호] 윤혁순, 물고기 암채화 네 번째 이야기 [2019 09/10, 186호] 윤혁순, 물고기 암채화 네 번째 이야기 ∷∷∷ 태평양 문화권에서 공통으로 보이는 상징세계 도처 태고대 거석문명에서 거대한 둥근 구 형태의 돌 문화가 발견된다. 그것이 고대에 진리의 상징이라는 것을 다양한 문화에서 얘기하고 있다. 구에 가까운 입체적 동그란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간 모든 문화 답사의 귀결점이 그것이었기 때문이다. 그것을 다루지 않으면 태고대 문화의 미스터리는 풀리지 않는다는 것이 미학에서의 결론이다. 인류학자나 역사학자들이 태고대 미학을 수용하지 않으면 그들의 연구는 멈춰 더 이상의 발전을 기대할 수는 없을 것이다.필리핀 근처 태평양에 '팔라우'라는 윤혁순 | 수중세계 | 2019-09-26 18:03 처음처음1끝끝